저녁 강가에서

매일의 치열한 일상 속에서도 저녁 강가처럼 하루를 돌아볼 수 있다면...

즐거운책읽기

삶의 진정한 가치를 알게해준 「19년간의 평화수업」by 콜먼 맥카시

안동꿈 2012. 4. 16. 20:24

평화를 가르친다는 것이 다소 생소하게 느껴졌다.

우리의 의식속엔 평화는 단지 우리가 사랑해야할 어떤 이념으로만 여겨질 뿐이었다.

그러나 저자가 말한대로 '평화를 가르치지 않으면 누군가 폭력을 가르칠 것이다.' 라는 것을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이다.

이 한 권의 책을 읽기 시작할때 우리는 평화주의자로의 첫 발을 내딛게 될 것이다.



19년간의 평화수업

저자
콜먼 맥카시 지음
출판사
책으로여는세상 | 2007-07-20 출간
카테고리
정치/사회
책소개
평화와 비폭력에 관한 놀랄 만한 이야기들! '평화'를 주제로 한...
가격비교

 

 

원래 <워싱턴 포스트>의 칼럼니스트였던 저자 콜먼 맥카시는 1982년 어느 날 워싱턴 D. C에 있는 '담장없는 학교'라는 가난한 공립 고등학교에서 1일 교사로 글쓰기를 가르치게 된다.

수업이 끝난 뒤 그는 담당 교사에게 아이들을 가르치고 함께 소통하는 시간이 너무 좋았다고 말했다. 그러자 담당 교사는 "그렇다면 다음 학기에 정식으로 글쓰기 수업을 맡아 주세요."라고 했다. 그런데 그 순간 그는 "그보다는 오히려 평화를 가르치고 싶습니다(I,d rather teach peace, 이 책의 원어 제목)."라고 말했다. 그리고 그것이 계기가 되어 소년원, 가난한 공립학교, 부유한 지역의 사립학교, 여러 대학교와 로스쿨 등에서 5천명이 넘는 학생들을 만나며 20년 넘게 평화와 비폭력을 가르치고 있다.

이 책은 그의 재미난 수업 방식과 학생들과 함께한 감동적인 이야기들로 엮어져 있다.

 

나는 이 책을 직장내 독서 교육(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는 활동)교재로 신청하였고, 아래에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작성한 것을 옮긴 것이다.

 

질문)) 만약 자신에게 평화 수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, 자신이 이 수업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평화의 핵심적 가치가 무엇인지 쓰고, 그 이유를 서술해보세요.

평화의 핵심적 가치는 인간성에 대한 존중, 인간에 대한 사랑이라고 생각한다.

다시말해 인간의 존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지켜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. 권력을 가진 자 혹은 강한 조직의 이익과 권력 유지를 위해 약자의 존재는 늘 위협을 받게되고, 그들의 진실은 왜곡 되어진다. 그러나 이 땅에 사는 모든 사람들은 일부 권력에 의해 그들의 존엄성이 파괴되어서는 안된다. 모든 존재는 가치있게 태어났고, 존엄성은 존중되어야 하고 그들의 진실은 왜곡되어져서는 안된다. 그것은 이땅에 사는 모든 사람들의 존재 가치이고 이 땅을 유지시킬 우리들의 의무인 것이다.


내가 평화수업을 하게 된다면 한가지 더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이것이다.

사람은 평생동안 갈등의 상황에 놓이게되며, 모든 갈등의 상황에서 해결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. 바로 폭력과 평화이다.

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폭력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교육되었고 그것은 거의 본능과도 같다. 그러나 우리가 수 없이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그 결과는 고통과 실패일 뿐이다.

평화로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이 얼핏보기에는 비굴해 보이고 지는 것 같아 보이지만 그것은 결코 실패하지 않는 유일한 방법이다. 그리고 그것은 생각만으로는 결과를 예측할 수 없고 실천에 의해서만 확실한 결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.


나는 평화수업을 하게 된다면 이 평화를 실천하는 시도를 수강자들과 꼭 해 보고 싶다.


질문)) 요즘 학교폭력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. 학교폭력의 심각성과 현 교육상 평화교육의 부재를 연관지어 서술해보세요.

아직 감수성이 예민하고 작은 경험이나 상처가 한 사람의 평생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청소년기라는 사실때문에 학교폭력이 그 무엇보다 심각하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.


우리나라의 학교폭력이 이토록 심각한 상황에 이른 것은 무엇보다도 '성적 지상주의'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다.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고 성적(등수)으로 사람의 가치도 판단해 버리는 학원분위기, 아니 가정조차도 이 기준을 적용해버리는 것이 청소년기의 우리 아이들에게 가치관의 혼란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.

이것은 결과가 좋으면 방법이야 어떻든 상관없다는 생각을 은연중에 가르치게 되는 것이고 거기에는 폭력이 무수히 끼어들어 있다고 보여진다.


우리는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 정립하는 일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생각한다. 성적이나 성공, 이런 것들은 진정한 가치가 될 수 없다. 우리는 진정한 가치를 가르쳐야하고 우리 어른들이 먼저 삶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. 인간에 대한 사랑, 평화, 이런 진정한 가치는 결코 실패하는 법이 없다.